여성건강검진 지원
2025년 여성 건강검진 지원 제도 안내
여성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 혜택을 알려드립니다.
자궁경부암, 유방암 검진부터 난임 부부, 임산부까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건강을 지키세요.
2025년 여성 건강검진 지원 제도 안내
2025년 여성 건강검진 지원 제도를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여성에게 특화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가암검진 사업,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지원의 대상, 내용, 신청 방법을 중심으로 알려드릴게요.
1. 국가 암 검진 사업 (자궁경부암, 유방암)
국가 암 검진은 특정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검진입니다. 여성에게 필수적인 자궁경부암과 유방암 검진을 포함합니다.
가. 자궁경부암 검진
- 지원 대상: 만 2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1회)
- 검진 내용: 자궁경부세포검사
- 본인 부담금: 무료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액 부담)
- 주의사항: 홀수년도 출생자는 홀수년도에, 짝수년도 출생자는 짝수년도에 검진 대상입니다.
나. 유방암 검진
- 지원 대상: 만 4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1회)
- 검진 내용: 유방 촬영술
- 본인 부담금: 무료 (국민건강보험공단 전액 부담)
- 주의사항: 유방암 검진도 자궁경부암 검진과 마찬가지로 출생년도에 따라 검진 대상이 정해집니다.
2.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난임으로 어려움을 겪는 부부에게 보조생식술(체외수정, 인공수정 등)에 필요한 시술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가. 지원 대상
- 만 44세 이하의 법률혼 부부 또는 사실혼 부부
- 소득 및 재산 기준: 전국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난임 진단서 제출 필수
나. 지원 내용
- 체외수정: 신선배아 최대 9회, 동결배아 최대 7회 지원 (총 16회)
- 인공수정: 최대 5회 지원
- 지원 금액: 시술 종류 및 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 (최대 지원금액 상향 예정)
다.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
- 준비 서류: 난임 진단서, 부부의 신분증, 건강보험증 사본, 소득 및 재산 증빙 서류 등
3.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고위험 임신으로 진단받은 임산부의 입원 치료비 부담을 경감하여 안전한 출산을 돕는 제도입니다.
가. 지원 대상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의 임산부
-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 진단 및 입원 치료받은 자
나. 지원 내용
- 입원 치료비 본인부담금의 90% 지원 (요양급여 및 비급여 항목 일부 포함)
- 지원 금액: 1인당 최대 300만 원 지원
다.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거주지 관할 보건소
- 신청 기간: 퇴원(진료) 후 6개월 이내
4. 추가 문의처
- 더 자세한 정보는 보건복지부 콜센터(국번없이 129),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여성 건강검진 지원 제도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필수적인 안전망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제도를 찾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중한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